Web Page를 크롤링을 하다보면 차단되었던 경험이 다들 한번씩은 있으실 겁니다. 이때 필요한게 User Agent지정입니다. User Agent란? 간단히 말해 소프트웨어의 식별 정보입니다. 내가 어떤 OS를 사용하는지 어떤 버전의 웹 브라이저인지를 담고 있는 정보입니다. html문서의 정보를 가져오는 간단한 코드입니다.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as BS import request url = 'url' response = requests.get(url) print(response.status_code) print(response.text) 이렇게도 웹페이지에 접속해서 html정보를 가져올 수 있지만 웹페이지 마다 다르지만 User Agent 를 검사 시 차단당할 수 도 ..
문제 인하은행에는 ATM이 1대밖에 없다. 지금 이 ATM앞에 N명의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 사람은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으며, i번 사람이 돈을 인출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Pi분이다. 사람들이 줄을 서는 순서에 따라서, 돈을 인출하는데 필요한 시간의 합이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총 5명이 있고, P1 = 3, P2 = 1, P3 = 4, P4 = 3, P5 = 2 인 경우를 생각해보자. [1, 2, 3, 4, 5] 순서로 줄을 선다면, 1번 사람은 3분만에 돈을 뽑을 수 있다. 2번 사람은 1번 사람이 돈을 뽑을 때 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3+1 = 4분이 걸리게 된다. 3번 사람은 1번, 2번 사람이 돈을 뽑을 때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총 3+1+4 = 8분이 필요하게 된다..
list에서 각 요소가 몇개인지 파악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collections.Counte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용방법은 굉장히 간단합니다. 먼저 random을 활용해서 random_list를 만들어 줍니다. import random import numpy as np arr = [random.choice(['A', 'B', 'C']) for _ in range(50)] print(arr) np.unique(arr) 그 이후 collections에 Counter를 불러와 사용해주면 끝입니다.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counter = Counter(arr) print(counter) for value, count in counter.items(): print(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