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10866번] 덱 – 덱 자료구조 구현
·
python/algorithm
문제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0866분류: 자료구조, 덱, 구현난이도: 실버 4 문재 개요정수를 저장하는 덱(Deque) 을 구현하고 다음 명령들을 처리하는 문제입니다. 입력 예시:15push_back 1push_front 2frontback 출력 예시:21202 문재 해석덱이란?─ Deque (Double-Ended Queue): 양쪽 끝에서 삽입과 삭제가 가능한 큐입니다.push_front, push_back : 앞/뒤로 원소 삽입pop_front, pop_back : 앞/뒤에서 원소 제거size, empty : 현재 덱 크기 및 비었는지 확인front, back : 양쪽 끝의 값을 확인 (단, 삭제하지 않음) 문제 접근 방식단순한 list 사용은 pop(0..
범주형 변수 인코딩 - Label, One-Hot, Ordinal
·
Data Analysis
실제 데이터에는 "남성", "여성" 이나 "서울", "부산" 처럼 문자형(범주형) 데이터가 자주 존재합니다.하지만 머신러닝 모델은 오직 숫자만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범주형 데이터를 수치형으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이를 인코드(Encoding)이라고 하며, 데이터 전처리에서 중요한 단계입니다. 왜 인코딩이 필요한가?위에서 말했다 싶이 머신러닝 모델은 오직 숫자만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문자열을 직접 모델에 넣을 수가 없습니다.예를 들어 gneder="남성"은 수치적 연산 불가한 셈입니다.그리고 범주형 변수끼리는 크기 비교가 불가능합니다. "서울" > "부산"을 같은 비교는 의미가 없습니다. 문제 상황 예시 문자열을 직접 모델에 넣을 수 없음gender = "남성"은 수치적 연..
[Numpy] where, argmax, unique, argsort
·
python/Pandas | Numpy
데이터를 조건에 맞게 찾고, 정렬하고, 고유값을 뽑아내는 핵심 함수들입니다.데이터 분석에서 "찾기"는 기본 중의 기본이다.특정 조건에 맞는 위치가 궁금하다 → np.where( )가장 큰 값은 어디인가? → np.argmax( )중복 없이 어떤 값들이 들어 있는가? → np.unique( )정렬 순서를 알고 싶다 → np.argsort( )이 네가지 함수는 조건, 추출, 분류, 정렬, 그룹핑의 기반이 되는 매우 자주 쓰이는 함수들이다. np.where( ) - 조건에 따라 인덱스나 값을 선택● 조건이 True인 인덱스 반환import numpy as npa = np.array([10, 20, 30, 25, 15])np.where(a > 20)# (array([2, 3], dtype=int64),)─ 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