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프로그밍에서 말하는 ad-hoc은 쉽게 말해 재사용이 불가능한 코드라고 보시면 됩니다.
개발 기간이 촉박할 때 급하게 요구사항을 맞추는데 사용하게 됩니다.
흔히 '하드코딩'이라 불리는 방법으로 만든 솔루션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num1 = 10
num2 = 15
result_add = num1 + num2
print(f"result : {result_add}")
- num1, num2를 받아서 result_add에 그 값을 저장하는 코드 입니다.
따로 함수를 만들지않고 작성한 코드이다 보니 num1, num2를 변경하지 않는 이상 값은 변하지 않습니다.
해당 코드는 재상용될 수 없고, 다른 숫자를 더하려면 프로그램 코드 자체를 변경해야 합니다.
빠르게 코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점점 ac-hoc가 많아지게 되면 유지보수가 그만큼 어려워진다는
큰 단점이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람다(lambda) 함수란? (0) | 2025.04.11 |
---|---|
클라우드 IaaS, PaaS, SaaS 비교 (0) | 2024.03.04 |
순회 (Traversal) 란? (0) | 2023.09.20 |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Graph Database) (0) | 2023.09.20 |
CI/CD(Continuous Integration/ Delivery & Deployment)란? (0) | 2023.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