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Cloud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할까?

2023. 5. 15. 16:54·Why?
728x90

클라우드의 장점

  • 신속한 인프라 도입 : 온프레미스방법의 경우 인프라를 구축하기위해 물리적인 기계, 공간, 가용인력이 필요하나, 클라우드서비스는 빠르게 인프라를 도입할 수 있다.
  • 초기비용이 온프레미스보다 적게 듬
  • 인터넷만 있으면 서버관리 가능

온프레미스 장점

  • 보안이 아주 좋다
  • 인프라를 직접 구축하다 보니 어마어마한 데이터 처리가 가능
  • 인터넷 없이 엑세스 가능(단, 사무실에서만)
  • 데이터 백업에 좋음

클라우드 단점

  • 보안에 약함

  • 인터넷 필수

온프레미스 단점

  • 구축이 오래 걸림
  • 돈이 많이 들어감
  • 서버 관리자 구하기도 힘든데 3교대 근무이다 보니 많이 나가려고함(회사마다 다름)
  • 재택하려면 VPN으로 회사에서 맞춰줘야함 다만 느려짐..

기업 73%가 온프레미스로 애플리케이션 다시 이전…“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미래 밝다”

http://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98257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하나 이상의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하나 이상의퍼블릭 클라우드의 조합을 사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
728x90
반응형

'W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제너레이터는 메모리 사용을 효과적으로 사용할까?  (0) 2023.05.15
머신러닝과 비교했을 때, 딥러닝이 가지고 있는 장단점은?  (0) 2023.05.15
PDP의 해석 시 유의할 점  (0) 2023.05.15
ICE Plot과 PDP Plot의 특징에 대해 논의하고 언제 어떤 방법을 쓸 수 있을지 구체적인 예시  (0) 2023.05.15
Tree based model에서 특성의 scaling이나 normalization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0) 2023.05.15
'W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왜 제너레이터는 메모리 사용을 효과적으로 사용할까?
  • 머신러닝과 비교했을 때, 딥러닝이 가지고 있는 장단점은?
  • PDP의 해석 시 유의할 점
  • ICE Plot과 PDP Plot의 특징에 대해 논의하고 언제 어떤 방법을 쓸 수 있을지 구체적인 예시
Balang
Balang
음악 전공생의 개발일지
  • Balang
    Balang
    Balang
  • 전체
    오늘
    어제
  • 반응형
    • All Post (150) N
      • python (46) N
        • selenium (4)
        • algorithm (10) N
        • Django (6)
        • Pandas | Numpy (22)
      • SQL (9)
      • Data Engineer (31) N
      • Data Scientist (3)
      • Data Analysis (9)
      • Computer Science (35)
      • Why? (15)
      • 마음가짐 (2)
  • 인기 글

  • 최근 댓글

  • 최근 글

  • 250x250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Balang
왜 Cloud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할까?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