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과 컴파일러 언어 간의 주요 차이점

2023. 9. 16. 16:06·Computer Science
728x90

인터프리터 vs 컴파일러

  • Python: Python은 인터프리터 언어입니다. 소스 코드를 직접 실행하며, 코드를 작성한 후 바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Python 코드를 작성하고 테스트하는 과정을 단순화하지만, 실행 시에 일부 성능 손실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컴파일러 언어: 컴파일러 언어는 소스 코드를 먼저 컴파일하여 중간 코드나 기계어로 변환한 후 실행합니다. 이러한 컴파일된 코드는 일반적으로 더 빠르게 실행되지만, 컴파일 단계가 필요하므로 개발 및 디버깅 과정에서 추가 시간이 소요됩니다.

 

동적 vs 정적 타이핑

  • Python: Python은 동적 타입 언어로, 변수의 데이터 유형이 실행 시간에 결정됩니다. 이는 더 유연한 코딩을 허용하지만, 실행 중에 타입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컴파일러 언어: 대부분의 컴파일러 언어는 정적 타입 언어로, 변수의 데이터 유형은 컴파일 시간에 이미 정해집니다. 이로써 타입 관련 오류를 컴파일 과정에서 잡을 수 있으며 실행 시에는 더 안정적인 코드를 생성합니다.

 

가독성 vs.성능

  • Python: Python은 간결하고 가독성이 높은 문법을 가지고 있어 코드 작성과 유지보수가 쉽습니다. 하지만 실행 시에는 일반적으로 다른 컴파일러 언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릴 수 있습니다.
  • 컴파일러 언어: 컴파일러 언어는 컴파일된 코드가 보통 빠르게 실행됩니다. 그러나 더 많은 코드 작성 및 디버깅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문법이 더 복잡할 수 있습니다.

 

플랫폼 독립성

  • Python: Python은 플랫폼 독립적이며, 한 번 작성한 코드를 여러 운영 체제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 컴파일러 언어: 컴파일러 언어의 경우 컴파일된 코드가 일반적으로 특정 플랫폼 또는 아키텍처에 종속적일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Python은 빠른 개발과 가독성을 제공하며, 주로 스크립팅 및 빠른 프로토타이핑을 위해 사용됩니다.

반면에 컴파일러 언어는 더 빠른 실행 성능과 타입 안정성을 제공하며, 보다 복잡하고 성능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사용됩니다.
선택은 프로젝트의 목적과 요구 사항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인터프리터 언어의 예시

  1. Python: Python은 대표적인 인터프리터 언어입니다. Python 코드는 한 줄씩 읽혀지고 바로 실행됩니다. 따라서 코드를 작성하고 바로 실행해 볼 수 있습니다.
  2. JavaScript: JavaScript 역시 인터프리터 언어로, 웹 브라우저에서 동적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호 작용하는 데 사용됩니다. 브라우저에서 스크립트를 직접 실행하며 개발자 도구를 통해 디버깅할 수 있습니다.
  3. Ruby: Ruby도 인터프리터 언어로, 간결한 문법과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는 언어입니다. Ruby 스크립트는 바로 실행될 수 있습니다.

컴파일러 언어의 예시

  1. C: C 언어는 대표적인 컴파일러 언어입니다. C 코드는 먼저 컴파일러를 통해 기계어 코드로 변환되며, 그런 다음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빌드됩니다.
  2. C++: C++도 C와 같이 컴파일러 언어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는 확장된 버전입니다. C++ 코드는 컴파일러를 통해 기계어로 변환됩니다.
  3. Java: Java는 컴파일러 언어로, Java 코드는 컴파일러에 의해 중간 바이트코드로 변환되며, JVM(Java Virtual Machine)에서 실행됩니다.
  4. C#: C#도 컴파일러 언어로, Microsoft의 .NET 프레임워크에서 실행됩니다. C# 코드는 CIL(Common Intermediate Language)로 컴파일되고, CLR(Common Language Runtime)에서 실행됩니다.
728x90
반응형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Graph Database)  (0) 2023.09.20
CI/CD(Continuous Integration/ Delivery & Deployment)란?  (0) 2023.09.19
k진수에서 소수 개수 구하기 (풀이)  (0) 2023.09.13
재귀 함수란? (Recursion)  (0) 2023.09.11
해시란? (Hash Table)  (0) 2023.09.05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Graph Database)
  • CI/CD(Continuous Integration/ Delivery & Deployment)란?
  • k진수에서 소수 개수 구하기 (풀이)
  • 재귀 함수란? (Recursion)
Balang
Balang
음악 전공생의 개발일지
  • Balang
    Balang
    Balang
  • 전체
    오늘
    어제
  • 반응형
    • All Post (132) N
      • python (36) N
        • selenium (4)
        • algorithm (3)
        • Django (6) N
        • Pandas | Numpy (19)
      • SQL (9)
      • Data Engineer (29)
      • Data Scientist (3)
      • Data Analysis (4) N
      • Computer Science (35)
      • Why? (15)
      • 마음가짐 (1)
  • 인기 글

  • 최근 댓글

  • 최근 글

  • 250x250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Balang
Python과 컴파일러 언어 간의 주요 차이점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